데이터 분석11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기업 내부 데이터베이스 정보통신망 구축이 가속화되면서 1990년대의 기업내부 데이터베이스는 기업 경영 전반에 관한 인사, 조직, 생산, 영업 활동 등을 포함한 모든 자료를 연계하여 일관된 체계로 구축, 운영하는 경영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전사 시스템으로 확대되었다. 1. 1980년대 기업내부 데이터 베이스 -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호스트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접속된 여러 단말간의 처리 형태의 하나이다. 여러 단말에서 보내온 메시지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데이터베이스를 엑세스하고, 바로 처리 결과를 돌려보내는 형태를 말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시로 갱신하는 프로세싱을 의미한다. 주문입력시스템, 재고관리시스템 등 현업의 거의 모든 업무는 이와 같은 성격.. 2021. 12. 21.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출처 내용 1차개념확대 EU 체계적이거나 조직적으로 정리되고 전자식 또는 기타 수단으로 개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독립된 저작물, 데이터 또는 기타 소재의 수집물 국내 '저작권법' 소재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 2차개념확대 국내 '컴퓨터 용어사전' 동시에 복수의 적용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복수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해서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저장,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조에 따라서 편성된 데이터의 집합 국내 'Wikipedia' 관련된 레코드의 집합, 소프트웨어로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의미 국내 '데이터분석 전문가 가이드' 문자, 기호, 음성, 화상, 영상 등 상호 관련된 다수의 콘텐.. 2021. 12. 20.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의 정의 1) 데이터(Data)라는 용어는 1646년 영국 문헌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라틴어인 dare(주다)의 과거 분사형으로 '주어진 것'이란 의미로 사용. 2) 1940년 이후 컴퓨터 시대 시작과 함께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통계학 등 다양한 사회 과학이 진일보하며, 데이터의 의미는 과거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에서 기술적이고 사실적인 의미로 변화되었다. 3) 데이터는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이다. 4) 데이터는 단순한 객처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속에서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데이터의 특성 존재턱 특성: 객관적 사실(fact, raw material) 당위적 특성: 추론 / 예측 / 전망 / 추정을 위한 근거(basis) 데이터의 유형 정성적 데.. 2021. 12. 17.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패턴을 파악하거나 예측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1. 종류 1) 정보를 찾는 방법론 별 종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분석(Association Rule) 회기분석(Regression) 로짓분석(Logit Analysis) 최근접이웃(Nearest Neighborhood)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K-평균군집화(K-means Clustering) 2) 분석 대상, 목적, 표현방법 별 종류 시각화 분석(Visualization Analysis) 분류(Classification) 군집화(Clustering) 포어케스팅(Forecasting) 2. 데이터 마이닝 분석 방법 Supervised Data Predi.. 2021. 12. 14. 데이터 분석 방법론 데이터 분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체계화된 절차와 방법이 정리된 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방법론은 절차(Procedures), 방법(Methods), 도구&기법(Tools & Techniques), 탬플릿&산출물(Templates & Output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목차 1. KDD 분석 방법론 1) 개요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는 1996 Fayyad가 프로파일링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로부터 통계쩍인 패턴이나 지식을 찾기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한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입니다.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인공지능, 패턴인식, 데이터 시각화 등에서 응용 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2) KDD 분석 프로세스 (1).. 2021. 11. 26. 이전 1 2 다음